지난 칼람에서 설명한 ‘어떤 형태의 주택을 지을까’를 결정하고 나면 이후 각 층별로 세부적인 구조와 마감재를 결정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고가주택이 아닌 경우는 빌더가 이미 주택의 형태에 따른 내부 설계를 마친 상태로 구조 변경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힘을 받는 벽(Load bearing wall)을 제외한 다른 벽은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함으로 빌더들이 이러한 구조 변경은 쉽게 수락합니다. 하지만 고가 주택의 경우 흔희 ‘Custom Build’라 하여 집의 내력벽을 포함한 모든 구조를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어 변경해 줍니다. 이런 경우 추가로 훨씬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칼람에서는 가장 흔한 주거 형태인 2층 주택을 기준으로 각 층별로 집을 지을 때 중요하게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집어보겠습니다.
2층 주택의 1층 고려사상:
- 채광 과 창문: 일반적으로 동양 사람들은 햇볕이 잘드는 남향집(Back Yard기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원하는 대지가 향이 남향이 아닌 경우 주택을 지을 때 창의 위치를 남,서향쪽에 최대한 확보하여 집 전체를 밝은 분위기로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오픈컨셉의 주택 형태에서는 이러한 방법이 매우 효과적 입니다.
- 부엌: 가장 중요한 공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주택 매매시 의사결정의 많은 부분이 여자분들의 생각에 의해 이루어짐을 간과해선 안됩니다. 집 전체 면적에서 가능하면 부엌의 면적은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을 지을 예산의 가능한한 많은 부분을 부엌 Upgrade에 사용하는 것이 좋은 투자입니다. 최근에는 대리석 탑이나 메이플 케비넷 과 같은 부엌 건자재 가격이 예전에 비해 많이 낮아진 만큼 이전보다 더 적은 예산으로도 Upgrade가 가능합니다. 부엌과 관련된 세부적인 내용은 빌더가 지정한 부엌가구 설치 업체와 상담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 Living room & Family room: 전통적인 구조의 2층주택에서는 주택 초입에 보통 Living room이란 공간이 있습니다. 주로 손님을 접대하는 Formal한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보통 Backyard 쪽으로 가족들의 거실 Family room이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이러한 Living room을 없에고 부엌과 한 개의 거실(보통 Great room이라고 부름)의 공간을 더 확보하는 주택이 늘고 있습니다. 1층이 그리 크지 않은 면적이라면 이러한 선택이 집 전체의 넓이를 훨씬 크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최근에 선호하고 있습니다.
- Dining & Eating Area: Living room과는 달리 Dining room은 손님 접대에 꼭 필요한 공간입니다. 따라서 6-8인 정도가 충분히 앉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최근 오픈 컨셉 주택의 경우 이 공간을 주택 초입에 배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부엌과의 접근성 또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Eating area는 부엌과 붙어있는 가족들의 식사공간 입니다. 면적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Eating area와 Dining을 겸하는 공간으로 설계가 이루어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부엌 쪽에 Island Top에 가족들의 간단한 식사공간을 마련하거나, 약간 올라간 형태의 Breakfast bar를 설치하면 손님들이 앉는 Dining table에서 부엌쪽 잡다한 물건들이 보이지 않게 하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 (다음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