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동네) 결정할 때 고려 사항:
- 직장 또는 사업체와의 거리, 버스 노선 확인
- 학군. Elementary P.S.의 경우는 거주 지역에 따라 학교가 정해지고 변경이 매우 어렵지만, Secondary의 경우 9월 입학년도 기준으로 1월말 까지 다른 학교를 신청하게되면 입학이 허가되는 경우가 있음으로 미리 학교를 방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도서관이나 운동시설과의 거리
- 가까운 공원이나 산책로 유무 혹은 미래 인근 개발계획(시 웹사이트나 시청 직접 방문을 통하여 확인)
- 무엇보다도 계획한 예산의 가격대가 그 동네 평균가격인 곳이 좋습니다. 그 지역 평균 가격보다 월등히 비싼 주택을 지으면 팔 때 손해볼 수 있음으로 각 지역의 평균 주택 가격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Your Home(어떤 집을 지을까?):
- 우선 주변 Community를 조사해 보고 가능하면 수요가 많은 형태의 주택을 짓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예를 들어 학군이 좋아서 주로 아이들이 어린 가족들이 선호하는 지역이라면 단층형태의 주택보다는 2층이나 Split 디자인의 주택을 짓는 것이 향후 Resale 때 유리합니다. 반면에 학군보다는 공원이나 쇼핑몰이 가까워 은퇴한 가정이 선호하는 지역이라면 계단이 적은 단층 주택이 보다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 흔히 Back Split 또는 Side Split형태의 주택은 특히 설계도를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택의 장점은 식구가 많은 경우 공간활용이 좋다는 점이 있지만 설계상 몇가지 한계점들이 있습니다. 우선 가장 높은 층에 위치하는 안방에 딸린 화장실이 없는 주택이 흔하고 내부에서 뒷마당으로 통하는 문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Back-Split의 경우 구조상 Family room에서 뒷마당으로 직접 나가기 위해서는 Walk-out Lot처럼 대지의 뒷면이 낮아야 합니다.
- Split 디자인이나 Raised Ranch 구조에서 저층에 반지하로 위치하는 Family room은 여름에는 시원하지만 겨울에 추운 것이 단점입니다. 따라서 집을 지을 때 이러한 공간에 Gas Fireplace를 설치하고 이를 통제하는 스위치를 온도조절장치(Thermostat)로 Upgrade하면 겨울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단층 주택을 지을 때 1층에 침실을 몇 개로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이 됩니다. 왜냐하면 보통 크기의 단층주택에서는 침실을 3개로 만들면 다른 공간들이 포기되야하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가장 쉽게 포기되는 공간이 안방의 화장실과 안방 옷장의 크기를 줄이는 것입니다. 반면에 침실을 두개로 설계하게 되면 안방의 Ensuite을 크고 고급스럽게 꾸밀 수 있으며Closet 또한 훨씬 넓은 Walk-in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방을 몇 개로 할지는 앞서 말한데로 인근Community의 주택선호도를 파악하여 학교가 가까운 지역에 있을 때 가능한면 방을 3개로 개발하고 주로 시니어 거주지역이면 침실을 2개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2층구조에서는 1층은 보통 Living room, Dining room, Kitchen, Eating area, Family room이 가장 흔한 형태의 구조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수요자들이 각 방이 나뉜(Divided)구조가 아닌 Open concept 구조를 선호하면서 전통적 구조가 많이 변경되었습니다. 예를들어 손님 접대 공간인 Formal한 공간 Living room이 꼭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공간만큼 더 큰 공간의 Family room과 Kitchen으로 주택 전체를 더 넒은 느낌으로 바꾸고자 합니다.